
안녕하세요. 오늘은 바닷물이 짠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.
여름에 휴가를 바다에 가서 신나게 놀다보면
한번씩 바다의 쓴맛과, 짠맛을 느끼게 되는데요.
왜 바닷물은 짠맛이 날까요?

바닷물이 짠 이유
바닷물이 짠 이유는 바다에 소금성분인 염화나튜륨이 녹아 있기 때문이에요.
뿐만 아니라, 염화 마그네슘, 황산마그네슘, 황산칼슘, 황산칼륨등
다양한 성분들이 녹아있는데요.
이 성분들을 "염류"라고 해요.
그래서 우리가 바닷물을 먹었을 때 짠맛을 느끼게 됩니다.
실제로 바닷물 1KG에 함류된 염류의 총량은 바닷물 1KG의 35G 정도라고해요.

그렇다면 왜 바닷물에 염류가 함유 되어 있을 까요?
일반적으로 바닷물을 짜게 만드는 이유로 두가지의 가설이 있는데요.
먼저 물은 다양한 종류의 물질을 녹이는 힘을 가지고 있어요.
그렇기 때문에 지구가 생긴 이후 오랫동안 큰 비가 내렸고,
그때 지구 표면에 있던 여러가지 물질 중에서 물에 녹기 쉬운 물질인
염류가 물에 녹아바다로 흘러 들어갔다는게 첫번째 가설이고요.
두번째 가설은 바다빝 해저화산이 폭팔하면서 나온 염류 물질이 바닷물에 녹아서
바닷물이 짠 이유라고 하는데요.
실제로 민물에서는 보기 힘든 염소와 황산염이 바닷 물에서 검출된다고 해요.
염소와 황산염은 해저 화산을 통해 지구내부에서 공급된다고 알려져 있는 물질입니다.

바다의 염분은 1000에 대한 비율, 천분율로 나타내는데요.
그 농도는 바다마다 차이가 있다고 해요.
태평양, 대서양, 인도양등 대다수의 큰 바다의 농도는 33~37%에 속하고
세계 해양 평균 염분 농도는 35%프로 라고 합니다.
하지만 육지로 둘러싸인 바다는 극단적으로 농도가 바뀌기도 하는데요.
하천의 유입량이 많고 증발이 적은 발트해는 농도가 10%이하까지 되는 경우가 있고
하천의 유입량이 거의 없고 증발이 심한 홍해 같은 경우는 바다의 염분농도가 45%가 되기도 한다는 사실이 참 재밌는것 같네요.
이렇게 여러분께 바닷물이 짠 이유 설명해 드렸는데요.
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
아이들이나 학생들에게 재밌게 설명해 줄 때 사용하면 좋을 것 같네요.